안녕하세요~
'약리'라는 글만 봐도, '아이구 머리야', '어떻게 공부하냐' 하겠지만 ~
기초약리 핵심정리를 잘 읽고보고, 기출문제도 같이 풀어보면서 용기를 내서 차근차근 약리를 이겨내 봅시다.
항상 응원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이 끝나고, 이제는 2025년 하반기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을 위해서 힘내봅시다.

약물에 대한 조제 형태부터 먼저 알아보겠습니다.
생긴 모양으로 종류를 나눈 것입니다.
1) 약(물)의 조제 형태
<액체>
① 액(물약, solution) : 약을 물에 녹인 것을 말한다.
② 시럽(syrup) : 약물을 설탕에 녹이거나, 당류를 함유하는 의약품의 용액 또는 현탁액 등으로 만든 내복 액체
③ 로션(lotion): 수성액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피부에 바르는 것
④ 유탁액(유제, emulsion) : 불용성인 약품을 미세 균등하게 분산시켜 유상으로 만든 것
⑤ 현탁액·부유액 : 불용성인 약품을 수중에 미세 분말로 균등히 분산시킨 것
⑥ 팅크제(tincture) : 생약을 에탄올·물의 혼액으로 침출 (예) 옥도정기
⑦ 주사제(injection) : 피부나 점막을 통하여 체내에 직접 적용하는 무균의 제제
그럼, 사진으로 한번 더 보겠습니다. 글로도 우리는 잘 이해하지만, 그림으로 보는것이 더 직관적으로 알기 쉬운 거죠^^
① 액(물약, solution)
② 시럽(syrup)
③ 로션(lotion)
④ 유탁액(유제, emulsion)
⑤ 현탁액·부유액
⑥ 팅크제(tincture)
⑦ 주사제(injection)
<고체 또는 반고체>
① 가루약(pulvis) : 1·2종 이상 약의 가루를 균등히 혼합한 것
② 캡슐약(capsule) : 분말, 과립, 액체 상태 또는 약을 캡슐에 충전하든가 또는 캡슐제로서 싼 것
③ 알약(정, 정제, tablet) : 결정성의 약이나 가루약을 일정한 모양으로 납작하거나 둥글게 압축하여 만든 것이다.
④ 연고(ointment) : 쉽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적당한 조도의 균등한 반고형 외용제
⑤ 좌약(suppository): 의약품을 기제에 균등하게 혼합·성형하여 국소적 혹은 전신적 효과를 위해 항문, 요도, 질에 적용하는 고형의 외용제
그럼, 사진으로 한번 더 보겠습니다.
① 가루약(pulvis)
② 캡슐약(capsule)
③ 알약(정, 정제, tablet)
④ 연고(ointment)
⑤ 좌약(suppository)
2) 약(물) 투여의 목적 : 질병의 치료·예방·진단, 동통 및 불편감 제거
3) 약(물)의 구비 조건
① 인체에 해가 없으며 안정성·강도·효과가 있어야 한다.
② 발암 현상이 없어야 하며, 치료 효과가 있어야 한다.
③ 선택성이 있어야 하며 값이 싸야 한다.
4) 약(물)의 유형
① 대용제(substitutive) : 체내 물질 또는 체액 대용으로 사용된다.
② 강장제(restorative) : 신체의 건강을 회복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③ 화학요법(chemotherapeutics) : 암세포의 파괴 목적으로 사용된다.
④ 지지제(supportive) : 다른 치료를 하기 전 신체 반응이 회복되기까지 신체 기능을 지지해 주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⑤ 완화제(palliative) : 질병 자체의 치료에는 효과가 없으나 질병의 증상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⑥ 치료제(curative) : 질병을 치료하고 상태를 호전시킬 목적으로 사용된다.
★ 시험에 많이 나오는 부분입니다 ★
★ 5) 약물의 관리 ★
① 약물은 30℃ 이하의 서늘하고 통풍이 잘 되며 직사광선을 피해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② 액체로 된 약품이나 약상자, 기타 약을 담는 그릇은 언제나 뚜껑을 덮어 둔다.
③ 연고, 마사지용 알코올, 소독약 등은 내복약과 다른 칸막이에 따로 둔다.
④ 혈청, 예방백신( BCG백신, PPD용액), 인슐린, 간장 추출물 등 은 2~5℃의 냉암소에 보관하고 좌약은 실온에 보관한다.
⑤ 기름 종류의 약품은 10℃ 전후로 보관한다.
⑥ 유효 날짜가 지난 것은 간호사에게 보고하여 바로 버린다.
⑦ 표지(라벨)가 손상된 약물은 투여하지 않는다.
⑧ 침전물이 있거나 변색된 약은 사용하지 않는다.
⑨ 백신 냉장고의 온도 점검은 하루에 적어도 2회를 하며, 기록한 온도의 보존 기간은 2년이다.
6) 용기의 종류
① 밀봉 용기 : 가장 효과적으로 미생물 침입 방지 앰플, 바이알
② 기밀 용기 : 수분 침입, 손실, 오염 등의 방지를 위한 용기 과산화수소
③ 밀폐 용기 : 약품의 손실, 파손, 이물의 혼합을 막기 위한 용기
④ 차광 용기 : 약물을 햇빛에서 차단하기 위한 갈색이나 청색 용기
7) 약장 관리
: 아편제제와 마약 종류는 별도의 약장에 보관하고 약의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거듭 잠그는 장치를 요한다.
반드시 잠가 두고 항상 수량을 확인하는 한편 열쇠는 책임 간호사가 보관한다. 마약을 투여하지 않을 경우 버리지 않고 반납해야 한다.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에서 기초약리 2문제 정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기출문제를 좀 풀어 보겠습니다.
1. 항문, 질, 요도 등에 삽입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고형의 외용제는?
① 좌약
② 연고
③ 시럽
④ 정제
⑤ 캡슐
->항문, 질, 요도에 삽입할 수 있는 형태는 주로 고형으로 만들어진 좌약입니다.
2. 디곡신을 투여하기 전 반드시 측정해야 하는 것은?
① 혈압
② 맥박-> 디곡신은 심근의 수축력을 높여주는 약물입니다. 미주신경 자극으로 서맥이 나타날 수 있고 심정지로 될 수 있어서 꼭 디곡신을 투여하기 전에는 반드시 맥박을 측정해야 합니다. (60회 이하면 보고)
③ 호흡
④ 체온
⑤ 체중
3. 심근의 수축력을 높이기 위해 투여하는 약물은?
① 이뇨제
② 강심제->디곡신
③ 항응고제
④ 항협심증제
⑤ 항히스타민제
다음 시간에 더 많이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문제도 많이 풀어보고 합격을 향해서 나아갑시다.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약리3_핵심요약_문제풀이 (0) | 2025.04.07 |
---|---|
기초약리2_핵심요약_기출문제풀이 (0) | 2025.04.06 |
2025년 하반기 간호조무사 시험일정 안내 (0) | 2025.03.28 |
간호조무사자격증_간호관리_기출문제 (1) | 2025.03.22 |
2025년 상반기 간호조무사 자격증 국가시험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