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조무사

산업보건_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_요점정리2

by nursekang 2025. 1. 24.
반응형
작업환경관리

1. 작업환경관리의 목적

 

  • 직업병 예방
  • 산업재해 예방
  • 산업피로 억제
  • 인간의 간강 보호

 

 2. 유해 요소에 대한 관리 방법

 

  • 대체(대치) 또는 제거: 대처는 덜 유해하거나 덜 위험한 물질을 대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예) 벤젠 대신에 덜 유독한 톨루엔이나 크실렌을 쓰는 것
  • 물질대체, 공정대체, 설비대체: 가연성 물질을 유리병 대신 철제통에 저장, 벤젠을 이용한 세척 공정을 수동에서 자동으로 교체)로 구분
  • 물질대체, 공정대체, 작업방법대체: 페인트 작업을 분무식에서 전기흡착식으로 함.

 

 3. 작업 공정의 밀폐와 격리

    

  • 작업자와 유해 인자 사이에 장벽이 놓여 있는 상태를 의미
  • 예) 인화물질이 든 탱크와 탱크 사이에 도랑을 파서 제방을 쌓음
  • 장벽: 시간, 공간, 물체, 자동시설 설치에 의한 원격 조정 등
  • 최후 수단인 보호구 착용도 소극적 개념에서 격리에 포함
  • 작업 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감시창 설치 및 소음원에 대한 방음 처리

4. 유해물질의 희석 및 실내 환기

  • 환기 방식: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방식에 따라 국소 및 전체 환기 방식으로 구분
  • 국소 배기: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
  • 작업장 덮개 설치

 

5. 개인 보호구의 사용

 

  • 방진마스크, 송풍마스크나 산소마스크, 방독마스크

 


직업병과 건강

 

1. 직업병의 개념

  •  직업병: 특정의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에게 고유한 환경적 요인이나 작업 자세, 작업 방법 등의 근로조건에 의하여 발생되는 특정의 질병을 말한다.
  • 직업병의 특징: 특수한 직업에서 특수하게 발생하며, 예방이 가능하며, 만성의 경과를 거치며, 특수 검진으로 판정

        - 임상적 또는 병리적 소견이 일반 질병과 구분하기 어렵다.

        - 노출 시장과 첫 증상이 나타나기까지 긴 시간적 차이가 있다.

        - 많은 직업성 요인이 비직업성 요인에 상승작용을 일으킨다.

        - 임상 의사가 관심이 적어 이를 간과하거나 직업 이력을 소홀히 하는 경우가 있다.

        - 질병을 직업병으로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 인체에 대한 영향이 확인되지 않은 신물질이 많아서 그런 신물질로 인한 직업병이 발생하더라도 직업병으로 인정받기 어렵다. 
  • 직업병은 심한 경우 산업재해 보상을 받지만 경미한 경우 산업재해 보상을 받지 않는다.

 

 2. 작업환경의 유해 요인

 

  • 물리적 원인: 작업환경의 온도, 복사열, 소음과 진동, 유해 광선, 전리방사선, 이상 기압, 기계적 손상 등)
  • 분진에 의한 원인: 무기 분진, 유기 분진 및 금속 분진에 의한 폐질환
  • 화학적 원인: 유해가스, 중금속, 유해용제, 살충제
  • 생물학적 원인: 세균, 곰팡이 등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것과 취급하는 동물 또는 식물에 의한 것

 

3. 직업병의 예방 대책

 

  •  작업환경 개선, 정기적 건강검진, 생산기술 향상, 근로자 적성 배치

 


 

직업병의 종류

 

1. 잠함병

 

  • 원인: 고기압하에서 작업 후 급속히 감압이 이루어질 때 체내에 녹아 있던 질소가스가 혈중으로 배출되어 공기색전증을 일으키므로 생긴다.
  • 증상: 관절염이 가장 많이 발생, 실신·현기증·시력장애, 전신 또는 반신불수, 뇌에 발생하면 생명이 위험
  • 대상 작업: 교량 가설, 터널 공사, 잠수작업, 고공비행사, 해녀 등
  • 치료 및 예방

     - 감압의 속도를 늦추고, 적절한 운동으로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 작업 후 운동을 하거나 산소를 공급한다.

     - 비만자, 고령자, 폐나 심장질환이 있는 자는 업무를 피한다.

     - 단계적인 감압으로 1기압 감압 시 20분 이상은 소요해야 한다.

     - 고지방성 음식과 술을 삼간다.

 

2. 고산병, 항공병

 

  • 원인: 급성 고산병은 고지대를 빠른 속도로 오를 때 생긴다.
  • 증상: 근육통, 관절통, 흉통, 신경 장애, 공기전색, 치통, 중이염, 부비강염
  • 대상 작업: 등반가, 비행기 조종사

 

3. 직업 난청(소음에 의한 직업병)

 

  • 원인: 반복적으로 소음에 노출되어 코르티기관이 파괴되면서 청각세포에도 위축 변성이 오기 때문이다.
  • 증상: 자각 증상으로 이명, 작업 후의 청력 저하와 이통, 두통, 현기증, 초조감, 불면증
  • 대상 작업: 조선작업, 중기계공업, 착암작업, 판금작업, 연마 작업
  • 소음이 미치는 영향: 청력 손상, 수면 방해, 정신적 피로 가중, 소화불량, 근육 긴장, 두통, 불안, 작업능률 저하, 신경증, 고혈압, 심장박동 증가

 

4. 진동에 의한 직업병

 

  • 진동에 의한 장애:  골관절 장애, 레이노 증후군( 착암기를 많이 사용하는 근로자의 손가락이 창백해지는  말초순환 장애) 등
  • 대상 작업: 작업자(타이피스트), 교통기관의 승무원, 분쇄기공, 발전기 및 전동기 취급자

 

 5. 작업 형태에 의한 직업병(VDT 증후군)

 

  • 원인: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등과 같은 시각표시단말장치(VDT)를 사용함으로 인해 생기는 직업성 건강 장해
  • 증상: 눈피로(안정 피로), 경견완 증후군, 정신신경 장해, 피부 증상(발진)
  • 예방: 작업환경과 기기의 조건 개선, 작업 시간 조정, 작업공간 조절 

 

 

오늘은 여기까지 요점정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