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조무사32

투약관련 의학용어💊 약어🩺 공부는 어렵지만, 천천히 하다 보면 이루어진다고 생각한다! qd 매일, 하루 한 번bid 하루 두 번tid 하루 세 번qid 하루 네 번qod 격일로po 경구hs 자기 전, 취침 시IM 근육주사IV 정맥주사SC 피하주사SL 설하의stat 즉시V/O 구두처방T/O 전화처방qh 매 시간prn 필요시OD 오른쪽눈OS 왼쪽눈OU 양쪽눈AD 오른쪽귀AS 왼쪽귀cap 캡슐tab 정제오늘은 여기까지 공부해 봅시다💉🩸🦠🌡️🪬#간호조무사 #투약약어 #의학용어 2024. 12. 27.
2025년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시행계획 공고 2025년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시행계획이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공고가 나왔다. 2025년도부터는 간호조무사 시행이 컴퓨터시험(CBT)로 변경되면서, PC를 통해서 답안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답안을 체크하는 방식이다. 종이시험이 익숙한 시험생 입장에서는 걱정이 큰 것도 있다. 그래도, 요양보호사 시험은 벌써부터 진행하고 있어서 많이 어려운 것은 없다. 시험 일정이 나와서 함께 공유해 본다. 그리고, 2025년부터는 시험문제도 5문제 많아졌다.  1. 기초간호학 개요: 35문제2. 보건간호학 개요: 15문제3. 공중보건학개론: 20문제4. 실기: 35문제 -> 실기에서 5문제가 늘었다. -> 1점/1문제/객관식(5지 선다형) 합격자 결정방법은 매 과목 만점의 40퍼센트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0퍼센트 이.. 2024. 12. 24.
2024년도 상반기 간호조무사 가답안(3월9일 시험) 2024년도 상반기 간호조무사 가답안(3월9일 시험) 오늘 드디어 2024년도 상반기 간호조무사 국가시험을 보는 날입니다. 시험을 보면 시험지를 가져 올 수 있기 때문에 가채점을 할 수가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CBT 형식으로 변경되어서 시험지를 가져 올 수 없지만요 아무튼 시험 당일에 바로 저녁 6시가 되면 국시원에서 홈페이지에 가답안 및 문항공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물론 응시자만 가능합니다. 모두 모두 합격하길 바랍니다. 이제 가답안(짝수형)입니다. 가답안(홀수형)입니다. ​ 2024. 3. 10.
2024년 3월 9일 간호조무사 시험 드디어, 1년간 열심히 공부한 간호학원 학생분들이 간호조무사 시험을 보는 날입니다. 2024년 3월 9일 토요일 간호조무사 시험!! 꼭 모두 합격을 기원합니다. 내일 간호조무사 시험이라서 합격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글을 적어봅니다. 합격자 발표 예정일은 3월 26일입니다. 그래서 먼저 합격자 발표 및 자격증 교부신청을 방법을 적어봅니다. ^^ 먼저 국시원 홈페이지, 국시원 홈페이지, 휴대폰 문자통보로 이루어집니다. 가. 합격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시원 홈페이지(www.kuksiwon.or.kr) ❍ 국시원 모바일 홈페이지(www.kuksiwon.or.kr) ❍ 휴대폰 문자(SMS) 통보(응시원서 접수 시 휴대폰 연락처 기재 자에 한함) 나. 시험에 합격한 자는 자격증 교부 신.. 2024. 3. 8.
훈련이수자평가_기초용어 처음에 간호학원에서 강의를 하려면, NCS에 나의 자료를 올리고, 승인받고, 점수가 나옵니다. 그리고, 기본 교육을 이수해야 강의를 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학원에서 강의가 처음이라 NCS 자체를 몰랐습니다^^;; 그래서, 기초 용어를 정의했습니다. ▣ 훈련이수자평가 ▣ NCS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약자로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 (지식, 기술, 태도)을 국가가 표준화한 것 NCS 분류: 직무의 유형을 중심으로 NCS의 단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국고용직업분류(KECO)등을 참고하여 분류한 것, 대분류(24) →중분류(81) →소분류(261) →세분류(1,039개)순으로 구성(소분류는 직종, 세분류는 직무를 의미) 능력단위:.. 2024. 3. 8.
간호국가시험모의고사_간호조무사(14회_1-10번 문제 & 풀이) 1. 노인의 영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단당류를 줄인다. ② 불포화 지방을 줄인다. ③ 비타민을 줄인다. ④ 단백질을 제한한다. ⑤ 칼슘을 줄인다. ▶ 노인의 영양관리 1. 일반적 특징: 전체적으로 신체 활동과 기초대사량의 감소로 열량섭취도 감소해야 한다. 노화에 따라 탄수화물에 있어서는 다당류(예: 곡류, 감자, 고구마 등)를 증가시키고, 단당류(예: 설탕, 사탕류 등)는 줄인다. 2. 단백질 요구량: 단백질 요구는 일생동안 별로 변화 없다. 3. 지방 섭취량: 지방 섭취는 지용성 비타민의 공급을 위해 필요하나 그 요구량이 감소하며, 전체 열량 섭취의 35%를 넘지 않도록 한다. 노인 혈관 건강에 이로운 불포화지방의 섭취량이 적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늘려나가도록 하며, 포화지방이나 트랜스 지.. 2024.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