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조무사

감염 관리에 대한 공부하기

by nursekang 2025. 4. 28.
반응형

간호조무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공부 부분이 감염관리입니다. 감염병 환자와 보호자의 감염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가장 강조해야 할 것은 '손 씻기'입니다. 코로나19를 겪어오면서 감염병의 위험과 손 씻기의 상관관계를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1. 손 위생

손 씻기가 핵심인 손 위생은 오염된 손으로 자신의 코 입, 점막으로 원인 미생물을 옮기는 것을 막고, 환경을 오염시키거나 다른 사람에에게 원인 미생물을 옮기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손에 단백질성 물질로 오염이 되어 있다면 반드시 비누와 물을 사용하여 손을 씻어야 하며 알코올 소독제를 사용하는 것도 

됩니다. 

손위생이 요구되는 시점을 보면,

- 환자의 혈액, 체액, 분비물 등을 접촉하기 전후(장갑 착용 여부와 관계없이) 손을 비누와 물로 

씨어야 합니다.

-장갑 혹은 기타 개인 보호 장비를 벗은 후 즉시

-환자 접촉, 혈액, 체액, 분비물, 배출물,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장비들을 다루기 전후

-환자 처치후 다른 환자를 처치할 경우 반드시 손을 씻으며 동일한 환자라도 다른 부위 처치 시에는 손을

씻는다.

 

※질병관리청

2. 감염

미생물이 숙주 내에 자리 잡고 살면서 인체에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3. 교차 감염

의료인의 손이나 사용 기구를 통해 환자가 감염되는 것입니다.

 

- 교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을 씻어야 할 경우

: 근무 시작 전후, 가운 및 마스크 착용 전후, 환자와 직접 접축한 후, 환자 붕대나 대소변을 만지고 난 후,

처치나 투약 전

 

- 교차 감염 방지를 위한 주의 사항

: 간호하기 전후 1문 이상 흐르는 물을 손을 씻을 것, 손톱 밑을 주의해서 씻을 것, 손에 상처가 

있을 때는 반드시 소독액을 바른 후 장갑을 끼고 간호할 것,

간호 처치 시 고무장갑이나 멸균장갑을 착용할 것, 환자의 질병에 대한 특성을 이해하고 감염의 가능성

대해 고려할 것, 분비물이나 드레싱 등은 위생적으로 처리할 것

 

4. 감염 예방을 위한 주사기와 주삿바늘의 관리

- 주삿바늘과 주사기는 일회용 제품을 사용하며 재사용하지 않는다.

-주사기와 주삿바늘은 포장된 상태로 보관한다.

-주사제가 들어 있는 주사기에서 다른 주사기로 약물을 옮기지 않는다.

-필요시 자상 예방을 위해 안전 주사기구 사용을 고려할 수 있다.

-사용한 주삿바늘은 즉시 견고한 합성수지류로 제작된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폐기한다.

-사용한 바늘을 구부리거나 손으로 만지거나 뚜껑을 다시 씌우지 않는다.

뚜껑을 씌워야 한다면, 한 손기법을 이용한다.

 

 

메디고고

손상성폐기물
※메디고고   손상성폐기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