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한방간호에 대한 핵심 요약정리하기!
간호조무사 자격증 시험을 보기 위해서 준비를 잘 해서 합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기초간호학
1) 동양의학의 주요특징
- 인간은 대자연에서 파생된 하나의 소우주로 간주하고 인체에 나타나는 생리현상이나 병적변화 현상은 대자연의 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보았다
병인(병의원인), 증후(병의증상), 치료에 있어서 정신적인 면에 치중한다. 육체 < 정신
인체를 여러 개의 독립된 기관의 조밀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협력체로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장부나 기관들이 서로 연관되고 유기적인 기능을 가진 통일체로 보기 때문에 인간을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생명체로 관찰하였다
2) 한방 간호의 역할
① 정신의 면 :사람의 정신 활동과 내장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칠정(감정)이 지나치면 그 관계된 내장을 손상시키고 내장의 생리 기능이 문란해진다
정신, 마음가짐이 바르지 아니하면,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정신, 마음가짐 중요시함)
② 기후의 면 : 추위 vs 더위 조화가 이루어질 때 우리 몸은 건강하다
한(차가움)은 형(육체)를 상하게 하고, 열(더움)은 기를 상하게 한다
-寒暑過度 한서과도 하면 生卽, 不固 생즉, 불고 한다
차가움 더움이 과하면 몸의 저항력과 건강이 허물어진다는 의미이다
③ 음식의 면
환자의 음식도 병증에 따라 적당히 선택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한다
오미(피해야할음식) 표참고 !!
마음의 병은 온식(뜨거운음식)을 금하고, 폐의 병은 한식(차가운 음식)을 금한다
④ 기거의 면(병실 또는 주거 환경)
병실의 설비는 간단하며, 청결, 환기, 광선 등이 조화가 이루어져야 환자가 안정할 수 있다
(실내 온도 18℃ ~ 22℃, 습도 40 ~ 60%)
만성질환자 : 기혈의 순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 권장
열병/쇠약(소모성질환) : 휴식, 절대안정
**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서는 몸을 잘 다스려야 한다
자연에 순응하는 삶, 심신의 안정, 음식 절제, 규칙적인 생활 등(정신, 음식, 기후, 기거를 동양의학에서는 중시함)
표는 외웁시다
| 오장 | 육부 | 칠정 | 오미 | 오축 |
| 심장 | 소장 | 희(기쁨) | 함(짠맛) / 온(더위) | 양 |
| 간 | 담낭 | 노(화남) | 신(매움) | 계(닭) |
| 비장=지라 | 위 | 사(생각) | 산(신맛) | 우(소) |
| 폐 | 대장 | 비(슬픔) | 고(쓴맛) / 한(추위) | 마(말) |
| 신장 | 방광 | 공(공포, 두려움) | 감(단맛) | 돈(돼지) |
| 심간비폐신 | 오장육부의 표리관계 |
우(근심) | 피해야 될 음식 | 유익하게 하는 음식 |
| 경(놀람) |
** 표리관계 : 따로 떼어 생각할 수 없는 관계, 서로 뗄수 없는 관계
간-담, 신장-방광, 폐-대장, 심-소장, 비-위
2) 투약(제형의 종류) ★시험 자주 출제됩니다
정의를 써두고 어떤 제형을 말하는지 고르는 문제가 자주 출제
| 종류 | 특징 | 시중에서 흔히 접하는 약 |
| 탕제 | 끓여서 삼출, 급성질환에 응용 | 쌍화탕 |
| 산제 | 마른 약제 세말(가루)하여 혼합 | 용각산 |
| 환제 | 산제+물 = 수환 or 산제+꿀 = 밀환 or 풀, 만성질환에 응용 @복용법 작은 과립은 끓인 물과 복용, 입자 큰 밀환은 나눠서 복용, 수환은 온수에 용해해서 복용 |
우황청심환, 정로환 |
| 고제 | 달여서+꿀or설탕 넣어 농축시킨 반유동 상태 내복약과 외용약 두 종류가 있다 |
외용약:연고,고약 내복약:경옥고,당삼고,홍삼고 |
| 주제 | 알코올(술)에 담가 성분 삼출 | 야관문주,말벌주,복분자주 등 |
| 정제 | 세말하여 농축시킨 후 부형제를 가함 | |
| 엑기스 | 약액을 농축시켜 제품의 일정량에 일정하게 함유 | 홍삼엑기스 |
| 시럽제 | 백당(흰색엿)을 넣어 만듦 | |
| 훈제 | 숯불 위에 놓고 훈연(연기 피움) 하는 방법 | 좌훈 |
| 좌제 | 질 내 또는 항문에 삽입 |
@ 복약 시 주의사항
- 쇠약, 병이 중한 환자, 어린이, 노인은 소량으로 여러 번 약을 먹인다
구토할 때에는 조금씩 여러 차례에 걸쳐서 복용한다
구강을 통해 복용할 수 없을 때는 비위강으로 준다
약의 횟수 보통 1일 3회
위장에 자극을 주는 약은 식사 직후 복용한다
독성이 있는 약물 복용 시 처음에 조금씩 복용하다 점차적으로 용량을 늘리며, 복용 후 환자의
정신상태, 중독 증상을 관찰한다
일반적으로 따뜻하게 복용하는 것이 좋으나 약제 처방에 따라 복용방법은 달라진다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나면 용량 횟수를 줄이거나 중단한다
4) 한방의 치료 요법
동의학은 서양의학과 달리 인체의 병을 이기는 능력, 즉 인간의 정기(바른 기운)를 증강시키는 데도 중점을 두고 있다 팔법(병을 치료하는 8가지 방법)의 치료방법
| 소법 | 기혈이 몰려서 생긴 비만, 몸안에 쌓인 기로 인하여 덩어리가 생겨서 아플 때(담걸림) 소법으로 치료 , 예) 소화제 |
| 보법 | 허약한 것을 보익하는 방법 예) 보약 |
| 청법 | 열을 제거(해열) 하기 위한 요법 예) 청열제 |
| 온법 | 음증, 한증(서늘하고 차가운 기운)을 치료하는 방법 예) 인삼 |
| 화법 | 춥고, 더움이 조절되지 않을 때 몸의 기운을 화해시키고, 조화시켜 정상상태로 회복시키는 작용 |
| 하법 | 위와 장을 세척하고 대변을 배설시키는 치료법 예) 하제 |
| 토법 | 구토를 일으키게 하는 약물, 물리적 자극을 주어 토하게 하는 방법 |
| 한법 | 땀 내는 방법, 발한작용이 있는 약을 써서 땀으로 발산 예) 발한제 : 복용 후 침상에 누워 이불을 덮고, 직접적으로 바람을 쏘이는 것을 막고, 여러번 뜨거운 물을 마시고 날것, 찬 과일을 먹는 것을 금한다 |
경락 :인체의 기, 혈, 진액의 운행통로이며 전신에 퍼져 있으며 인체의 각 부분이 서로
연결된 하나의 유기적 통일체이다.(인체를 흐르는 큰 선, 침구 의학의 본질)
에너지 통로다 (기, 혈)
경락 내에서 에너지가 원만히 흐르고 있다면 건강하고, 어느 장부에 이상이 있으면 그 즉시
그 에너지의 흐름이 정체된다고 한다
이와같이 기(氣) , 에너지 흐름이 정체되면 그 이상이 경락상에 나타난다
2. 경혈 : 경락을 따라 위치하며 에너지(기,혈)가 지나며 출입하는 문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침,뜸,부황의 자극점으로 직접 시술하는 부위이다
3. 어혈=축혈:체내의 혈액이 일정한 자리에 정체되어 노폐물이 많아져 생기는 한의학상의 병증
어혈의 특징
혈액순환이 순조롭지 못해서 쌓이는 것
어혈이 경락(경락 줄기)을 막아 통증이 생긴다
한열이 지나쳐도 어혈이 생긴다
발생 부위에 따라 증상이 각기 다르다
외상(내부 또는 외부에서 오는 너무 강력한 자극으로 인해 정신기구가 갑자기 붕괴되거나 고장을 일으키는 현상) 어혈은 청자색(청자의 푸른빛) 혈종이 나타난다
@@ 경락 치료의 진단법(시험 잘나옴)
-망진(바라볼 망)
눈의 색, 얼굴색 등에 나타나는 상태, 자세나 움직이는 모습 등을 관찰하고 보고 진단
-문진(問 물을 문) 환자에게 물어보아 진단(오미를 묻는 것이 중심)
-문진(聞 들을 문) 소리(오성, 오음)와 냄새(오취)로 진단
-절진(맥진,진맥) 여러 가지 진단법 중에 가장 중요한 진단법이며 전승의학의 두드러진 특징
요골동맥
음양오행학설
음양:대립적인 사물,측면,성질,경향 등을 가리키고 있다.
(하늘과 땅,아비와 어미,뜨거움과 차가움,맑음과 흐림,물과 불,기와 혈,밤과 낮 등)
음양의 성질
음 : 한(寒), 하(下), 정지, 어두움, 억제, 허약, 기능 쇠퇴 등
양 : 열(熱), 상(上), 운동, 밝음, 흥분, 강장, 기능항진 등
2. 오행:상생과 상극으로 사물의 상호관계를 설명한다

- 상생관계;생산하는 것과 생산되는 것의 관계이며 순환적이다.
(목생화, 화생토, 토생금, 금생수, 수생목)
상극관계:사물 상호 관계에서 한 사물이 다른 사물을 제약하고 억제하는 관계
(수극화, 화극금, 금금목, 목극토, 토극수
복승관계 ; 복승관계는 자(子)가 모(母)를 이긴 것을 이기게 한다라는 것이며,
예를 들면, 목이 토를 이긴 경우(木克土)에 토는 금을 낳고(土生金), 금이 목을 이긴다
즉, 토는 본래 목에 지지만 결코 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삿앵관계를 통해서 토는 금을 낳고
그 금에 의하여 목을 제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양생술
정의 :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오래 살기 위해 여러 가지 생활 규칙을 지키고 몸을
다스리는 방법(예방의학, 건강증진)
방법 :자연에 순응(자연과 호흡, 조화), 심신의 안정, 음식의 절제, 규칙적인 생활 등
침,뜸,부항,추나,수치료,한증요법
*외치법*
약을 일정 수법이나 기구등을 배합하여 몸겉면 등에 바르거나 찜질 자극하는 방법
# 자침 (침)
인체의 일정 부위를 침구를 사용하여 자극함으로써 생체의 기능을 조절하고, 질병을 예방, 완화하고 치료한다
1) 침의 종류
-호침:한열,통비(아프고저릴 때)에 사용,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함
-삼릉침:사열,출혈,발설(사기나 독을 밖으로 내보냄)의 목적, 고질병에 사용
-피부침:소아침이라 하며,침을 두려워하는 환자에게 사용
-화침:침을 불에 달구어 빨리 찔렀다 뺌, 침과 뜸의 효과
-지침:수지의 맥을 이용 안마의 효과(수지침)
-피내침:피부안에 매장, 몰입하는 짧은 침(금연, 다이어트침)
2) 침의 작용
-반사작용:체표면 자극 그에 대응하는 장기에 반사적 자극
-유도작용:환부로부터 먼 곳에 자극하여 혈관을 확장, 수축시켜 배설을 촉진, 소염작용을함
-항분작용:신경계를 가볍게(약한자극)자극하여 치료,흥분시킴
-억제작용:강한자극을 가하여 진통,진정작용을함
3) 침의 부작용
-훈침 : 침 시술 후 어지럽고 창백해지며 가슴이 답답하고 식은땀이 나며 심하면 졸도증상
@ 처치
1. 즉시 한의사에게 보고한다
2. 침을 빼고 반듯하게 눕힌다
3. 경증환자의 경우 따뜻하게 끓인 물을 마시게 한다
4. 심한 환자는 인중, 중충혈, 백회혈을 자극한다
-체침:근육긴장으로 침이 빠지지 않는 상태(긴장풀린 후 침 돌려빼기)
-만침:침이 구부러진 것
-절침:침이 부러진 것
혈종:침을 뺀 후 멍이 든 것(스스로 소멸, 온습포, 마사지)
4) 적응증
소아과적(경기,경련),내과적(호흡기질환-감기,천식/소화기질환-속메스꺼울 때,변비,급만성대장염등),신경과적(우울,수면장애,약물남용),근골격계통증,부인과적(월경통),안,이비인후과적(결막염,다래끼,이명,메니에르등),마비질환 등
5)금기사항
급성 심장질환, 출혈, 암환자, 몹시 피곤하거나 만복, 공복, 갈증이 심할 때
(안구,고막,폐,심장,후두,고환,외생식기,유두등 해부학상으로 금기)
6) 침치료 환자간호
-자세:일반적으로 편안한자세(앙와위)를 취해주고 유침시간 동안 환자의 체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유침시간 15~20분 정도가 적당하다
-발침 시 천천히 뽑아낸 후 알코올 솜으로 가볍게 누르거나 문지른다
-현훈 시 의사에게 즉시 보고
-기온이 낮은 경우 치료시간 단축할 수 있다
-발침 후 출혈이 있으면 지그시 눌러주고, 남은 침이 없는지 살핀다
-사용한 침구는 알코올 솜으로 닦고 고압 증기 멸균 소독을 한다
-침구 폐기시 손상성의료폐기물통에 버린다
# 구법(뜸)
혈 부위를 뜨겁게 자극하여 쑥의 약효와 열을 가하여 경락을 통하게 해주고 기혈을 순행시켜
질병을 에방하고 치료한다
1) 뜸의 종류
-직접구:피부에 직접 불이 닿는다
-간접구:중간에 투과성 약을 매체로 열과 쑥 기운 전달(흔하게 사용)
-애조구:공기매체
-쑥찜:수증기매체
-온침:침을 매개
2) 뜸의 작용
억제작용,항분작용,유도작용,반사작용,면역작용,중혈작용(혈색소↑)
3) 뜸의 금기
열성질환,급성복막염,해부학상 얼굴,심장,혈관이 드러난 부위, 임산부 하복부, 주취중
4) 뜸치료 시 환자간호
-기본적인 앙와위 자세를 취해준다
-뜸뜨는 순서 위-아래/등-배/머리,몸통-사지
-병실환기
-화상주의(특히 마비환자)
-뜸치료 후 수포가 생기므로 수포가 작은 것은 저절로 말라버리지만,
수포가 크면 주사기로 뽑아낸 후 소독약을 바르고 붕대를 감는다
-뜸치료후 뜸은 물에 담궈 불씨를 제거한다
자연요법
# 부항요법(진공정혈요법)
부항요법은 음압 펌프질로 관 속의 공기를 빼내어 경혈 상 피부 표면에 흡착 시키거나 간접적으로 화력을 이용하여 울혈을 하는 방법이다
(병 부위를 따뜻하게 하여 차가운 기운을 흩어지게하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함)
1)간호시 주의사항
-부항 적용시간은 5~15분 정도가 적당하다
-서서히 체력에 적응되도록 압력과 횟수를 조절한다
-부항 후 피로감이 심하면 2~3일 정도 휴식기를 갖는다
-육식 또는 산성식품을 제한하고, 자연식이를 섭취한다
-부위별로 크고 작은화관을 선택하는데 근육이 많거나 뚱뚱한 환자는 비교적 큰화관을 선택한다
-화관입구에 약간의 바셀린을 발라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2)금기
출혈,골절부위,정맥류 등
# 추나요법(지압,수기,안교,안마)
손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음양을 조화시키고, 경락을 소통시키며 기와 혈을 활성화시키고 관절을 이완시켜 부드럽게 한다
1) 간호시 주의사항
-약한 자극부터 강한자극으로 횟수도 점차 늘려간다
-아픈 곳이 시술점이 된다
-환자의 자세는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다
-진료실 온도는 20도 온도를 유지하고, 시술자 손을 따뜻하게 한다
-덥고 땀이 많이 나는 여름철에는 송홧가루를 기술 부위에 발라 표피 손상을 막는다
-추나 등 수기요법을 받은 환자는 시술 후 3~5분정도 휴식을 취한다
-시술 중 두혼,오심,목현,자한등의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치료를 중지하고 환자를 안정시킨다
2)금기
출혈성 질환, 골절부위, 관절에 염증성 질환이 있을 경우, 술에 취한 경우, 정신이 흥분된 경우, 월경, 임신기 복부나 요천부는 피하는 것이 좋다
#수치료법(냉온욕법, 수욕요법)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준다. 자극과 진정, 중화작용, 해독작용
1)방법
-이상적인 물의 온도, 냉탕 16℃전후, 온탕42℃ 전후
-병약자나 고령자 순환기 질환 환자에게 실시 할 때는 냉탕 30℃전후, 온탕 40℃ 전후로
온도차가 10℃내외
-1분씩 교대로 탕에 들어가되(5~7회 반복), 냉탕부터 시작해서 냉탕으로 끝내도록 한다
2)금기
중증 심장질환
#한증요법(발한요법)
땀을 나게 해서 병을 고치는 원리로 동서양의 공통적 치료 원리
-서양의학 : 체중조절, 노폐물 배설 – 동양의학:소염,온보





'간호조무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간호조무사 국가시험 하반기 기출 문제 보기 (1) | 2025.10.11 |
|---|---|
| 개인위생 및 간호돕기 _간호조무사 국가시험 문제 대비 풀이 (0) | 2025.06.13 |
| 침상 만들기(Bad making)와 간호조무사 국가시험대비문제 (0) | 2025.06.11 |
| 검사 돕기 간호에 대한 공부와 간호조무사 국가고시 대비 문제 (0) | 2025.06.02 |
| 감염 관리에 대한 공부하기 (0) | 2025.04.28 |